본문 바로가기
친환경자동차

(벤츠-EQ시리즈)다양한 친환경 자동차 궁금하여 정리

by 누렁누렁 2022. 7. 19.
반응형

 

요즘 ESG 경영이다...탄소중립 정책이다...말들이 많은데

그런 건 각설하고 내가 궁금한 요즘 나온 친환경 자동차를 브랜드별로 정리해 볼 생각입니다.

우선적으로 메르세데스 벤츠~!!!!

요즘 가장 눈이 가는...............EQB

Mercedes Benz EQB
Mercedes Benz EQA

 

차량에 대해 궁금해서 정말 많은 블로그 글들과 카페를 통하여 알아봤습니다..

물론 계약도 진행했습니다.

제가 아는 선에서 정리를 해본 결과를 공유하겠습니다~^^

우선 메르세데스 벤츠의 EQ 시리즈 배터리 용량 및 항속거리는 아래 비교표 첨부합니다.

 

※ 일반적으로 전기차 주행거리 측정 방법은 4가지가 있습니다.

1. WLTP(유럽)

2. 환경부

3. EPA(미국)

4. NEDC(중국)

 

저는 유럽(WLTP)과 환경부 기준만 가지고 설명을 이어 나가겠습니다.

1. WLTP(유럽)

     → WLTP(Worldwide harmonised Light vehicle Test Procedure)는 NEDC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2017년부터 채택된 표준입니다.

    30분 동안 23km가량의 거리를 주행합니다. 평균 주행속도는 47km/h이며 최고속도는 130km/h로 측정하며, 다양한 주행환경 속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항속거리를 측정하는 NEDC 기준보다는 훨씬 실제 주행거리와 가깝습니다.

What is WLTP: the Worldwide Harmonised Light Vehicle Test Procedure? - WLTPfacts.eu

 

What is WLTP: the Worldwide Harmonised Light Vehicle Test Procedure? - WLTPfacts.eu

The WLTP laboratory test measures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from passenger cars, as well as their pollutant emissions.

www.wltpfacts.eu

 

2. 환경부

     → 전기차 주행거리의 인증을 환경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. 미국의 EPA 테스트 기준을 참고해서 만들어서 매유 유사한 방식으로 테스트가 진행되며, 그리고 몇 가지를 추가해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항속거리 평가기준이 까다롭습니다.

     미국 EPA 방식으로 각각 고속 및 시내주행 모드로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하여 결과는 70%만 우선 인증합니다. 추가적으로 '5-Cycle'이라는 보정식을 대입하여 고속 및 시내주행, 급가속 및 고속주행, 에어컨 가동상태, 겨울철 낮은 온도 등의 상황을 고려해 만든 보정식입니다. 그래서 주행거리가 가장 낮게 나오는 편입니다.

 

https://www.google.co.kr/url?sa=t&rct=j&q=&esrc=s&source=web&cd=&ved=2ahUKEwi5w7KyuIT5AhUXgVYBHRerDLMQFnoECAYQAQ&url=https%3A%2F%2Fwww.ev.or.kr%2Fjf%2FrDlF.do%3FfileId%3D159b15d207357%26fileSeq%3D6%26useSecurity%3D%26uploadMode%3Ddb&usg=AOvVaw0z_JO82eWrZaNGD_GA_62M

 

www.google.co.kr

 

환경부 기준은 너무 보수적으로 잡아 실제 운영 거리보단 낮게 책정되는 것 같습니다.

실제 운행 시 WLTP기준으로 EQ 시리즈는 항속거리가 환경부로 책정된 거리보다 많게는 100km 적게는 50km는 더 갈 것 같은데요..

그럼에도 현대차나 기아차에서 환경부 기준으로 받은 항속거리는....어마어마한 것이겠죠..?^^

 

마지막으로 너무 가지고 싶은 EQS 투척하고 끝내겠습니다~다들 안운!!!!!빠염~

Mercedes Benz EQS

반응형

댓글